본문 바로가기

채권추심

[차용금] 차용금에 대한 강제집행 절차



[차용금] 차용금에 대한 강제집행 절차



차용금에 대한 강제집행절차


차용금차용금, 강제집행




1. 제도의 취지


빌려준 돈[차용금]이나 상품대금 등 돈을 받을 권리가 있으나

 
채무자가 임의로 변제를 아니한다고 하여 함부로 채무자의

금품을 훔치거나 빼앗는 것은 허용될 수 없다.


국가가 정해진 법 절차에 따라 채권자를 대신하여
 
[차용금]에 대해 강제로 돈을 받아 주는 것이 강제집행절차인 것이다.



 

차용금에 대한 강제집행절차


2. 채무명의 확보 (집행권원)



차용금에 대해 강제집행을 할 수 있는 권리를 인정해 주는 공적인 문서가
 
채무명의이다.

 
대표적인 것이 “피고는 원고에게 돈 천만원을 지급하라”는 식의
 
이행명령이 기재된 확정된 승소판결문이다.


그 외에 가집행선고가 붙은

미확정판결, 인락조서, 화해조서, 조정조서, 지급명령, 공정증서 등이 있다.


 


차용금에 대한 강제집행절차



3. 집행문 부여


위와 같은 채무명의에 “위 정본은 피고 ○○○에 대한 강제집행을 실시하기

위하여 원고 ○○○에게 부여한다.”는
 
취지를 기재하고 법원직원이나 공증인이 기명날인 하는 것이 집행문 부여이다.



차용금에 대한 집행문 부여시  공증인은 공정증서에 대하여만 집행문을 부여할 수 있다.



집행문은 채무명의를 가지고 제1심법원이나 공증인 사무소에 가서 신청하면
 
간단히 처리해 준다.




이때 법원의 경우는 500원 상당의 인지를 붙여야 하고


공증인의 경우는 2,000원의 수수료를 납부하여야 한다.




본래의 원고나 피고가 사망하여 그 상속인이 집행을 하거나 상속인에 대하여

집행을 하려면
판결문에 표시된 원•피고와 실제 집행하려는 사람이 다르기 때문에



상속인임을 알 수 있는 호적등본을 첨부하여 신청함으로써 승계집행문을

부여받아야 한다.

 

강제집행절차 더알아 보기 http://lawnc.co.kr